신사임당 - 부자가 되는 미묘한 차이 (존리)

 

자본주의에서 부자가 된 사람들 중 월급을 많이 받아서 된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월급으로 초기 자본 즉 시드를 만들어야 한다.

그다음 시드를 이용해야 한다.

자본주의에선 자본이 일하게 하는 것을 하지 않으면 부자가 될 수 없다.

부자란? 돈으로부터 자유로움을 가지는 것이다.


주식에 투자할 땐 변동성을 이겨내야 한다.

변동성이란? 어떤 것이든 항상 올라가진 않는다.

올라갈 때가 있으면 내려갈 때도 있다.

20년을 기다리려고 해도 당장 10만 원이 7만 원이 되면 마음이 아프다.


확신이 없으면 기다릴 수 없다.

확신을 가지려면 경제 공부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a 회사의 주식을 샀다 1년 뒤 1만 원에서 8천 원으로 하락했다면 보통 스트레스 받는다.

하지만 a라는 회사를 분석했다면?

a 회사의 미래가치가 괜찮다면 문제없다.

10년 후 20년 후 회사의 미래가치를 분석하자.


한 종목에 모두 투자하는 것이 아닌 15~20개 종목으로 분산해야 한다.


하루에 만 원씩이라도 20년 동안 투자하면 상당한 큰돈이 된다.

365*20 = 7000 변동이 없으면 7000만 원이지만 그 이상으로 변하게 된다.


투자 방면에선 기회비용 개념으로 보았을 때

전세, 자가, 월 세중에 월세가 유리할 수 있다.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는 건 좋지만 부동산에만 집착하지 말자.


부동산은 자기 자본이 적고 대출로 받을 수 있다. 쉽게 생각한다.

하지만 리스크가 크다. 일본을 생각해보자.


부동산과 주식의 가격 상승률의 차이가 있다.

다만 주식도 리스크도 있다. 주식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연급 저축 펀드는 월급쟁이도 400만 원은 채우자 환급해준다.

개별 주식 투자보단 400만 원을 무조건 채우자.

단점은 55세까지 깰 수 없다.


5만 원 주식을 사서 10년 뒤에 5배가 올라간다면? 기회비용을 생각해야 한다.

그래프를 보기보단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해야 한다.



1. 부자인척하지 말고 가난해 보이더라도 투자하자.

2. 부자가 되는 길이 있다. 부자가 될 수 없다고 미리 포기하지 말자.

3. 돈을 숭배하진 말아야 하지만 돈의 중요성을 알자.

출처 - 신사임당 유튜브

 


신사임당 - 부자는 알지만 가난한 사람은 모르는 것 (존리) 감상평


안빈낙도의 삶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더보기

安貧樂道

①구차(苟且)하고 궁색(窮塞)하면서도 그것에 구속(拘束)되지 않고 평안(平安)하게 즐기는 마음으로 살아감

 

 

 

 




우린 익숙한 것이 아닌 것에 잘 도전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전 하는것과 도전하지 않는 것은 차이가 있다.

나무를 심는 것과 심지 않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한그루 한그루 심다 보면 숲이 되어있을 것이다.


돈은 쓰는 걸 버릇들이는버릇 들이는 게 아니라 저축하는 것을 버릇 들이는 것이다.


왜 주변에는 쓰는 걸 버릇들이는 사람이 더 많을까?

우리나라는 경제교육을 너무 하지 않기 때문이다.

스스로 생각해봐도 어렸을 때부터 경제 교육을 받은 기억이 없다.


경제 교육은 꼭 받아야 한다.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 문맹은 집단적으로 가난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경제 교육을 받지 않고 금융 문맹이 된다면

나는 부자는 어차피 안돼! 그냥 쓰자 마인드를 가지게 된다.

이런 마인드가 안빈낙도의 마인드 아닐까 생각해본다.

 


요새 한국 사람은 상처를 많이 받아서 그런지

포기하는 게 빠르고 금융지식을 쌓지 않는다.

YOLO 족을 욕하는 것이 아닌 적당한 미래 준비는 해야 한다.


부자는 하루아침에 되지 않는다.

천천히 돼가는 것이다.

나무 한그루 한그루 심으면 숲이 되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많이들 하는 예이지만,

눈사람이 만들어질 때를 생각해보자.

처음엔 작은 눈을 굴리지만 점차 커진다.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 

빚을 없애야 하고 라이프 스타일을 바꾸어야 한다.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


근로소득으로 부자가 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자본주의에서는 부자가 되려고 열망해야 한다.


흙 수저가 부자가 되려면 근로소득으로 새로운 창업을 해야 한다.

부자가 되려면 창업은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우린 창업을 도전하기엔 리스크가 크다.


새로운 방식의 창업의 대안이 있을까?

주식투자도 창업으로 볼 수 있다.

주식투자는 동업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다.

10만 원이 8만 원이 되는 것은 위험이 아닌 변동이다.

물론 투자 후 10년이 지났을 때 0에 가까이한다면 위험이다.


주식투자는 리스크가 있지만 위험이 많은 종목에 투자하지 않으면

0%로 될 일은 거의 없다.

나만이 일하는 게 아닌 나의 자본도 일하게 하는 개념을 생각하자.


금융지식의 중요성의 이유

모든 투자엔 충분한 공부가 필요하다.


주식투자는 도박적으로 하지 않는 게 아닌 자신이 알고 싶은 종목을 알아가는 게 좋다.

하고 싶은 사업 되고 싶은 꿈과 관련된 기업을 알아보고 주식을 접근해보자

아이들에게 선물해주는 것도 좋다.




1. 부자는 금방 되는 것이 아닌 천천히 돼가는 것이다.

2. 부자가 되기 위해선 금융지식은 필수이다.

3. 지금 당장 시작해라. 지금도 늦었다.

4. 자본도 스스로 일하게 하라.

출처 - 신사임당 유튜브






다형성은 편리하고 유용하지만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없다.

출력연산자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출력연산자를 사용하려면 함수를 따로 하나 생성하여 오버라이딩 한다.
즉, 함수에게 기능을 위임한다.

비슷한 전략이 다른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핵심. 새로운 가상함수를 이용해 문제점을 해결한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Base
{
public:
	Base() {};

	friend ostream& operator << (ostream &out, const Base &b)
	{
		return b.print(out);
	}

	virtual ostream& print(ostream& out) const
	{
		out << "Base";
		return out;
	}

};

class Derived : public Base
{
public:
	Derived() { };

	virtual ostream& print(ostream& out)const override
	{
		out << "Derived";
		return out;
	}
};
int main() {

	Base b;
	cout << b << endl;

	Derived d;
	cout << d << endl;


	return 0;
}

+ Recent posts